그룹명/스토리1

행정과 민원

청룡검객 2010. 7. 23. 21:55
> 뉴스 > 행정
"다 정해놓고 통보만, 우리가 들러리냐?"
원리사거리 원형교차로 사업확정 해놓고 뒤늦은 설명회에 주민 반발
2010년 07월 23일 (금) 김소라 기자 ksr8828@paran.com
연기군이 조치원읍 원리 사거리(일명 조치원역사거리)를 회전형 교차로로 변경하려는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23일 이에 관한 주민설명회가 열렸다.

   

설명회에는 당당부서인 연기군청 경제진흥과 담당자와 설계용역업체, 해당지역인 조치원읍 원리와 교리 일대 주민과 대표, 택시 및 버스업계 종사자들이 참석해 격론을 벌였다.

연기군청 경제진흥과는 정부의 선진국형 녹색교통안전정책으로 원리 사거리에 회전 교차로를 설치하고 횡단보도 위치를 변경할 계획을 밝히고 이를 통해 교통난 해소와 사고 위험 감소, 환경보호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지역은 교통사고가 잦은 곳이면서 신호대기 시간이 길어 교통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불필요한 신호대기로 인한 환경오염 우려가 있는 지역이라는 것이 연기군청의 설명이다.

하지만 설명회에 참석한 주민들의 의견은 정반대였다. 이 일대가 보행자 통행이 많은 지역이므로 보행자 위주의 정책이 우선시되어야 하는데 회전 교차로는 차량통행만을 반영한 탁상행정의 본보기라는 지적이다.

또한 지난 2005년 현재의 인공섬 교차로로 전환한 이후 큰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사고가 잦은 지역이라는 군청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이 곳이 지난 2005년 80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현재의 인공섬 교차로를 설치했던 곳인데 별 문제가 없는데도 다시 공사를 한다면 예산낭비가 아니냐는 것이다.

   

또한 회전 교차로를 설치하면서 이 일대 횡단보도의 위치를 옮길 경우 주변을 이용하는 보행자들이 도로를 건너기 위해 돌아서 가야하는 불편을 초래해 무단횡단이 공공연히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더구나 이 같은 사업이 이 주변에서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상인들에게는 치명적인 영업손실을 가져올 것이라는 판단 아래 상인들의 불만이 터져나온 것이다.

한 주민은 “국비를 지원받는 사업이라 꼭 해야 한다면 보행자 통행이 많은 이 곳이 아니라 죽림 5거리가 적절하다”며 장소를 바꿀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죽림 5거리는 확장공사를 하면서 원형교차로가 계획되어 있다’며 ‘현재로서는 이 계획이 가장 좋은 방법이고 주민 대다수가 반대해도 사업은 진행한다’는 군청 담당과장의 답변에 주민들은 ‘이미 사업을 다 결정해 놓고 들러리처럼 불러다 통보하는 이런 설명회는 필요없다’며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 

연기군의회 김부유 의원은 “5년 전 현재의 형태로 공사할 당시에도 지금과 똑같은 이유를 들어 공사를 시행했다. 가장 큰 문제는 주민 반대가 예상되는 사업에 사전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이라며 이를 행정권력 남용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 일대는 상권을 형성하고 있어 횡단보도 위치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며 “무작정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이해를 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치원읍 원1리 김상우 이장은 “이번 주 초에 이 같은 일이 진행된다는 것을 통보받았다”며 “마을 대표라고 있는데 상의도 없이 일을 진행한다면 이장이 마을 사람들한테 할 말이 없다”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그는 “주민 입장을 반영하는 눈높이 행정이 아쉽다”며 “사전에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면 주민들의 반발이 이렇게 크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참가자는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할 줄도 알아야 한다. 장사하는 입장은 이해하지만 교통흐름도 중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으며 ‘보행자가 조금 돌아서 가더라도 교통신호를 기다리는 시간보다는 오히려 시간이 절약될 것’이라는 의견도 소수 있었다.

참가 주민들의 반발에 대해 군청 담당자는 “횡단보도 위치 변경에 따른 상인들의 불편도 이해는 하고 있다”며 “보행자가 불편하다면 역 앞의 횡단보도는 그대로 두는 방안도 있다. 보완할 점은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공사 시작 전에 설명회를 몇 차례 더 열어 주민들의 불만을 최소화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주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하지만 주민들과의 입장차가 워낙 크고 사전 상의 없이 사업을 추진한 경제진흥과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이 깊어 시행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룹명 >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틀야구단 창단을 했습니다  (0) 2013.04.20
세종고등학교 운영위원장을 맡게 되었습니다  (0) 2013.04.09
55  (0) 2010.04.08
갑니다!  (0) 2010.03.27
안희정 도지사후보 화이팅!!  (0) 201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