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자
심대평, '선진과 창조' 탈퇴로 붕괴시켜
1일 국회에 탈퇴서 제출...선진당 원내 위상 '무소속 수준'
심대평 전 대표가 선진창조를 사퇴했다. 이에 따라 자유선진당의 원내 위상은 무소속 의원 수준으로 추락했다.
심대평 전 대표가 결국 ‘선진과 창조의 모임’(선진창조)을 탈퇴했다. 이에 따라 자유선진당과 창조한국당의 공동교섭단체인 선진창조는 자동적으로 교섭단체의 지위를 상실하게 됐다.
심 전 대표는 전날 중앙당에 탈당계를 제출하면서 선진창조 탈퇴서를 제출하지 않아 자유선진당 내부에서는 “무소속 상태에서 교섭단체에는 참여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 섞인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심 대표는 1일 오후 <디트뉴스24>와의 통화에서 “탈당서를 제출하면 자동적으로 교섭단체에서 탈퇴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었다”며 선진창조에서도 탈퇴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심 대표는 자신의 보좌진을 통해 국회 행정실에 교섭단체 탈퇴 신고서를 제출, 의사과에 정식으로 접수됐다.
선진창조의 자동해체에 따라 그동안 교섭단체로서의 각종 혜택은 단숨에 중단됐다. 당장 정책연구위원 12명(2급 6명, 4급 6명)이 공무원 신분을 잃게 됐다. 특히 각 상임위별 선진창조 소속 의원들이 간사의 자격을 잃게 돼 원내에서의 역할과 위상이 사실상 무소속 의원과 같은 정도로 축소됐다.
아울러 정보위원회에 참여할 수 없게 됐다. 이에 따라 세종시법을 비롯해 충청권 예산 확보에도 자유선진당의 영향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보건복지가족위원장직(변웅전 의원)은 유지되고, 자유선진당이 사용하고 있는 국회 본청 사무실도 계속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자유선진당 한 관계자는 “심 전 대표가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 같다. 교섭단체 유지는 충청권 현안을 챙기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사안이었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내비쳤다. 자유선진당 핵심 인사들은 창조한국당 측과 향후 대책을 숙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선진창조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을 영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감지되고 있다.
한편 심 전 대표의 한 측근은 “특별히 할 말이 없다. 하지만 충청권을 위한 심 전 대표의 마음과 생각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심 전 대표의 교섭단체 탈퇴가 충청권 현안 해결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끼칠 거란 전망으로 인해, 그동안 충청권의 이익을 챙기겠다는 심 전 대표의 대의명분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