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분향소가 조치원역광장에 설치된 가운데 25일에도 조문객들의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조치원역광장 분향소는 대통령 서거 다음 날인 24일 오후에 시민단체와 민주당 관계자가 주축이 되어 설치하여 24일 당일에도 1,000여명의 조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파악되었다.
25일에는 노 전대통령의 장례가 국민장으로 결정되면서 연기군청이 나서 분향소를 확장하고 공공기관의 추모행렬도 이어졌다.
또한 분향소를 찾은 각 단체에서는 자발적으로 자원봉사에 참여하여 시민들의 조문을 도왔고 많은 시민들이 분향소를 찾아 노 전 대통령의 생전을 추억하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조치원읍에 산다는 60대 어르신은 “이게 웬 날벼락이냐? 연기군에 와서 행정수도 만든다고 그렇게 애쓰고 노력했는데... 한창 때 이게 무슨 일인지 모르겠다”며 울먹였다.
노 전 대통령은 특히 국가균형발전의 일환으로 행정수도건설을 추진해 연기지역과의 인연이 깊은 까닭에 그 업적을 기리는 군민의 목소리가 많았다.
연기군의회 황순덕 의원은 “이 자리에서 단식하면서 나도 노 전대통령과 같은 수모를 겪었던 기억이 난다. 행정도시 건설을 위해 노력하신 은공에 보답하기 위해 행정도시를 반드시 사수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조선평 행정도시사수대책위원장도 “비록 마무리를 못 보고 가셨지만 노 전 대통령께서 시작하신 행정도시를 그 뜻을 이어받아 반드시 원안 추진되도록 투쟁하겠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보복정치가 사라지는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조치원읍에 임옥빈 어르신은 “노 대통령 성격이 나와 비슷한 데가 있다. 틀리면 틀리다고 올곧게 지적하고 불의 앞에 굴복하지 않아 내가 제일 좋아하는 사람이었다”며 “살아 계실 때 봉하마을을 가보지 못한 것이 한이다. 봉하마을 어귀에 환하게 웃는 동상을 세워주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첫날에 이어 다시 분향소를 찾은 진영은 연기군의회 의장도 “아쉽고 애석한 일”이라며 “우리 지역과 큰 인연을 맺은 분인데 불의의 일을 겪게 되어 혼란스럽다”고 아쉬운 마음을 전했다. 이어 “고인의 뜻을 받들어 행정도시가 정상추진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고인에 대한 예의일 것”이라며 6월 국회에서 세종시법 통과와 정부기관 이전고시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강조했다.
오후 들어서면서 각 기관과 단체에서 뿐 아니라 학생, 열차 승객, 아이들을 데리고 나온 일반 시민 등 각계 각층의 사람들이 추모를 위해 분향소로 향했고 이들은 추모가 끝난 후에도 노 전 대통령의 생전 모습이 담긴 영상물을 보며 고인의 뜻을 기리는 등 쉽사리 자리를 떠나지 않는 모습이었다.
|